1546 평균
문제
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.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.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. 이 값을 M이라고 한다.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/M*100으로 고쳤다.
예를 들어,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,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/70*100이 되어 71.43점이 된다.
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,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.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,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.
출력
t = int(input())
sa = []
l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j in range(t):
sa.append(la[j]/max(la)*100)
sol = 0
for i in range(t):
sol += sa[i]
print(sol/t)
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.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-2 이하이면 정답이다.
8958 OX 퀴즈
문제
"OOXXOXXOOO"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.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,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.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. 예를 들어, 10번 문제의 점수는 3이 된다.
"OOXXOXXOOO"의 점수는 1+2+0+0+1+0+0+1+2+3 = 10점이다.
OX퀴즈의 결과가 주어졌을 때,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길이가 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문자열이 주어진다. 문자열은 O와 X만으로 이루어져 있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점수를 출력한다.
t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t):
la = input()
score = 0
st = []
for i in range(len(la)):
if la[i] == 'O':
st.append(la[i])
score += len(st)
else:
st = []
print(score)
# STACK QUE 개념 생각나서 풀었다. 안그랬으면 막막햇을듯...
4344 평균은 넘겠지
문제
대학생 새내기들의 90%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.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.
입력
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.
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(1 ≤ N ≤ 1000, N은 정수)이 첫 수로 주어지고,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.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,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출력
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test_case = int(input())
for t in range(test_case):
mean = 0
l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j in range(1, len(la)):
mean += la[j]
sa = []
for i in range(1, len(la)):
if la[i] > mean/la[0]:
sa.append(la[i])
p = len(sa)/la[0] * 100
print("{0:.3f}%".format(p))
# 소숫점 자리 표기하는 법 외우자!!!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greedy_11399 ATM (0) | 2020.08.19 |
---|---|
[백준]greedy_11047 동전0 (0) | 2020.08.18 |
0814 백준 1712, 2839 (0) | 2020.08.14 |
0813 백준 알고리즘 1152, 2908, 5622, 2941 풀이 (0) | 2020.08.14 |
0812 백준 알고리즘 11720, 10809, 2675, 1157 풀이 (0) | 2020.08.12 |